맨위로가기

올비아 (우크라이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비아는 흑해 북부 해안에 위치했던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이다. 기원전 6세기에 그리드 플랜으로 건설되었으며, 아고라와 아크로폴리스를 갖춘 도시였다. 상업적으로 중요했으며, 자체적인 청동 주화를 생산했다. 기원전 5세기에 헤로도토스가 방문하여 기록을 남겼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민주정이 도입되었지만, 스키티아, 게타이의 침략으로 쇠퇴했다. 로마 시대에 재건되었지만, 4세기에 버려졌다. 현재는 고고학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발굴을 통해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콜라이우주의 역사 - 폰토스 왕국
    흑해 연안 아나톨리아 북부에 위치한 폰토스 왕국은 미트리다테스 1세 크티스테스에 의해 건국되어 그리스와 페르시아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이루었으나, 미트리다테스 6세 시대 이후 로마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쇠퇴하였다.
올비아 (우크라이나)
개요
작은 구조물 벽의 유적이 전경에 보이고, 배경에는 남부 버그 강 하구가 보인다.
올비아의 유적
본명Ὀλβία Ποντική (그리스어), Ольвія (우크라이나어)
위치우크라이나 미콜라이우주 파루티네
상세 정보
유형취락
길이약 1.6km
너비약 0.8km
면적약 50헥타르
건설밀레토스
건축 자재불명
건설 시기기원전 7세기
폐쇄 시기4세기
시대고졸기 그리스에서 제정 로마 시대
문화그리스, 로마
점유민불명
역사
건설기원전 7세기
폐쇄4세기
고고학적 정보
발굴 시기1901년–1915년, 1924년–1926년
고고학자보리스 파르마콥스키
상태폐허
기타 정보
소유주불명
관리자불명
일반 공개불명
웹사이트불명

2. 배치

(내용 없음)

2. 1. 지형

기원전 8세기에서 3세기까지 흑해 (에욱시네해)의 북부 해안을 따라 있는 올비아와 그 밖의 그리스 식민지들


올비아 지역은 50ha 범위를 차지하고 있고 이곳의 요새 시설은 대략 길이 약 1.61km 그리고 너비 약 0.80km로 된 이등변 삼각형 모양을 이루고 있다.[2] 이 지역은 또한 일부 마을들 (오늘날의 빅토로프카, 드네프로프스코에)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며, 이 마을이 있던 곳에 그리스인들이 정착했었을 수도 있다.[2]

올비아 자체로 보면, 도시의 저지대 (오늘날 대부분이 부크강에 잠김)에는 조선소와 장인들의 주거지가 주로 위치했었다. 고지대에는 사각형 구획으로 이뤄졌고 아고라를 중심으로 형성된 주요 주거 지구가 있었다. 올비아는 감시탑이 달린 방어용 석조 성벽으로 둘러 싸여 있었다.[3] 고지대 지역은 또한 고졸기 시대의 첫 정착지가 있던 장소였다.[2] 올비아가 기원전 6세기 이래로 격자형 계획 위에 지어졌다는 증거가 있으며 이런 사례는 스미르나 이후 최초의 경우 중 하나였다.[2]

도시의 후기 시대에 들어서, 아크로폴리스를 갖추게 되었고, 기원전 6세기부터는 종교 성지였다.[2] 기원전 5세기 초, 아폴론 델피니오스 신전 역시도 이 지역에 세워졌다.[2]

2. 2. 시설



그리스 식민지 유적은 50ha 면적을 차지하며, 요새는 길이가 약 약 1.61km, 너비가 약 0.80km인 이등변삼각형 모양을 이룬다.[2] 이 지역에는 빅토로프카(Viktorovka), 드네프로프스코에(Dneprovskoye) 등 여러 마을이 있었는데, 이곳에 그리스인들이 정착했을 가능성이 있다.[2]

올비아 도시 자체는 저지대와 고지대로 나뉜다. 저지대는 현재 대부분 부크강에 잠겨 있으며, 주로 조선소와 장인들의 주거지가 위치했다. 고지대는 주요 주거 지역으로, 사각형 구획으로 나뉘고 아고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도시는 탑이 설치된 방어용 석조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3] 고지대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 처음 정착이 이루어진 곳이기도 하다.[2] 기원전 6세기부터 올비아가 격자형 도시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다는 증거가 있으며, 이는 스미르나에 이어 가장 오래된 사례 중 하나로 여겨진다.[2]

도시의 후기 시대에는 아크로폴리스가 세워졌고, 기원전 6세기부터 종교 성지가 조성되었다.[2] 기원전 5세기 초에는 아폴론 델피니오스에게 바쳐진 신전도 이곳에 건립되었다.[2]

3. 역사

흑해 북부 연안에 위치했던 중요한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인 올비아는 상업적으로 번성하며 약 1,000년 동안 역사를 이어갔다. 이 도시의 역사는 크게 고졸기 및 고전 시대와 헬레니즘 및 로마 시대로 나뉘며, 번영과 쇠퇴를 거듭했다. 여러 차례 외세의 침입을 겪었으며, 기원후 4세기경 고트족의 침략으로 인해 결국 완전히 파괴되고 버려졌다.

3. 1. 고졸기와 고전 시대

올비아는 상업적으로 매우 중요했으며 약 1,000년 동안 번성했다. 이 지역에 그리스인이 정착했다는 최초의 증거는 베레잔섬에서 발견되었으며, 이곳에서 기원전 7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되는 도자기가 출토되었다.[4] 도시의 이름 '올비아'는 그리스어로 '행복한' 또는 '풍요로운'을 의미한다. 이곳은 고대에 더 오래된 원주민 정착지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섬이 아닌 반도였을 수도 있다.[4] 현재 학계에서는 베레잔섬의 정착지가 기원전 5세기까지 존속하다가, 본토에서 성장하던 올비아에 점차 흡수된 것으로 보고 있다.[4]

기원전 5세기에는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이 그리스 식민지를 방문하여 고대 도시와 주민들에 대한 귀중한 기록을 남겼다.[5]

같은 시기 올비아에서는 독특한 형태의 청동 주화를 주조하여 사용했다. 대표적으로 고르곤의 머리가 새겨진 둥근 토큰 형태의 주화와 뛰어오르는 돌고래 모양의 주화가 있다.[6] 이는 당시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둥근 형태의 주화와는 다른 독특한 모습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화폐는 아폴론 델피니오스 신전에서 사용된 제사용 토큰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

학자 마틴 리치필드 웨스트는 초기 고대 그리스 종교, 특히 오르페우스교가 중앙아시아의 샤머니즘 관습에서 강한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올비아에서 상당량의 오르페우스교 관련 낙서가 발견된 점은 이 도시가 동서 문화 교류의 중요한 접점이었음을 시사한다.[7]

3. 2. 헬레니즘과 로마 시대

300px


기원전 4세기에 올비아에 민주정이 도입된 이후, 밀레토스와 조약을 맺어 관계를 규정했다.[9] 이를 바탕으로 두 도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장군 조피리온에 맞서 함께 싸웠다. 기원전 3세기 말에는 경제적으로 쇠퇴하여[10] 스키타이의 왕 스키루루스의 지배를 받아들였다. 미트리다테스 6세의 통치 아래 잠시 번영했으나, 부레비스타가 이끄는 게타이에게 약탈당하면서 올비아의 경제적 번영은 갑작스럽게 막을 내렸다.

이후 올비아는 기존 도시 영역의 3분의 2를 잃었지만, 로마인들에 의해 재건되었다. 다만 규모는 작아졌고, 주로 야만인들이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프루사의 디오는 이곳을 방문하여 자신의 저서 '보리스테네스 담론'에 기록했는데, 당시 올비아는 강 이름을 따 보리스테네스라고도 불렸다.

로마 제국의 하 모에시아 속주에 편입된 올비아는 서기 4세기 고트 전쟁 중에 최소 두 차례 불타면서 결국 완전히 버려지게 되었다.

4. 발굴

특유의 올비아 돌고래 주화 (기원전 5-4세기경)


고고학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올비아 유적지는 미콜라이우 주 파루티네 마을 근처에 위치해 있다. 1902년 이전까지 이 유적지는 무신-푸시킨 백작 가문의 소유였으며, 이들은 자신의 영지 내에서의 발굴을 허가하지 않았다. 전문적인 발굴 작업은 보리스 파르마코프스키의 지휘 아래 1901년부터 1915년까지, 그리고 1924년부터 1926년까지 이루어졌다. 올비아는 이후 다시 사람이 거주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금석문과 조각 같은 고고학적 발견물이 풍부하게 남아있다. 오늘날에는 흑해의 침식 작용으로 인해 유적지가 손상될 위험이 있어 고고학자들이 발굴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2016년부터는 알프레트 트와르데키가 이끄는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 소속 폴란드 고고학 탐사대가 올비아에서 발굴 작업을 시작했다. 올비아에서 발굴된 주요 유물 중 상당수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에서 소장 및 전시하고 있다.

올비아의 주요 발견물 중에는 후기 아크로폴리스 지역에서 잘 보존된 고대 그리스 시대 주택과, 기원전 500년경에 납판에 쓰인 개인적인 편지가 있다. 이 편지에는 노예를 얻으려는 시도에 대한 불만이 담겨 있다.[4]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Routledge (UK)
[2] 서적 The Greeks Overseas: Their Early Colonies and Trade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Ltd
[3] 서적 Olbia Pontique et son territoire : l'aménagement de l'espace Belles-lettres
[4] 서적 The Greeks Overseas: Their Early Colonies and Trade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Ltd
[5] 문서 Histories
[6] 웹사이트 Olbia http://www.museum.co[...] Odessa Numismatic Museum
[7] 서적 The Orphic Poems Clarendon Press
[8] 서적 Greek Coins and Their Values Seaby Ltd.
[9] 서적 The Gates of Europe : A History of Ukraine Basic Books
[10] 문서
[11]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Routledge (UK)
[12] 서적 The Greeks Overseas: Their Early Colonies and Trade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Ltd
[13] 서적 Olbia Pontique et son territoire : l'aménagement de l'espace Belles-lettres
[14] 서적 The Greeks Overseas: Their Early Colonies and Trade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Ltd
[15] 문서 역사
[16] 웹인용 Olbia http://www.museum.co[...] Odessa Numismatic Museum
[17] 서적 The Orphic Poems Clarendon Press
[18] 서적 Greek Coins and Their Values Seaby Ltd.
[19] 서적 The Gates of Europe : A History of Ukraine Basic Books
[2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